요양보호사

치매어르신 인지활동, 뇌 자극 놀이 프로그램 7가지

케어지킴이 2025. 8. 9. 21:44

치매어르신을 위한 뇌 자극 놀이 프로그램 7가지: 인지활동 개선법

치매는 단순히 기억력을 잃는 것을 넘어, 인지 기능 전반에 걸쳐 다양한 어려움을 초래하는 질병입니다. 따라서 치매 어르신에게는 남아 있는 인지 기능을 유지하고 더 나아가 개선할 수 있도록 돕는 활동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활동을 흔히 '치매 인지활동 프로그램'이라고 부르며, 단순한 놀이를 넘어 어르신의 뇌를 자극하고 삶의 활력을 되찾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가정에서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치매 어르신을 위한 뇌 자극 놀이 프로그램 7가지를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각 활동이 어르신에게 어떤 도움을 주는지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모든 프로그램은 어르신의 흥미와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정답을 맞히는 것보다 활동 자체에 즐거움을 느끼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어르신의 상태에 맞춰 난이도를 조절하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감을 북돋아 주는 것이 성공적인 인지활동의 핵심입니다.

치매노인 인지활동

1. 추억을 회상하는 '기억 상자' 프로그램

어르신의 옛 기억을 떠올리게 하는 활동은 단기 기억력뿐만 아니라 장기 기억력을 자극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기억 상자' 프로그램은 어르신에게 의미 있는 물건(오래된 사진, 졸업 앨범, 즐겨 쓰시던 손수건, 옛날 동전 등)을 담은 상자를 만들어 함께 열어보며 이야기를 나누는 활동입니다.

활동 방법

  • 1. 어르신과 함께 어르신의 젊은 시절, 결혼식, 자녀의 어린 시절 등 중요한 순간이 담긴 사진이나 물건을 수집합니다.
  • 2. 수집한 물건들을 보며 당시의 기억과 감정에 대해 질문하고 이야기를 나눕니다. "이 사진은 어디서 찍으신 거예요?", "그때 어떤 기분이셨어요?" 등의 질문이 좋습니다.
  • 3. 어르신이 이야기를 잘 떠올리지 못하더라도 답을 강요하기보다는 함께 즐거운 대화를 이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활동은 어르신의 정서적 안정과 자존감 향상에도 큰 도움을 줍니다.


2. 손과 뇌를 함께 쓰는 '오감 자극 놀이'

손을 사용하는 활동은 뇌의 다양한 부분을 활성화시킵니다. 특히 촉각, 시각, 청각 등 여러 감각을 동시에 자극하는 놀이는 인지 기능 유지에 효과적입니다.

활동 방법

  • 1. 찰흙 놀이: 찰흙이나 점토를 주물러 다양한 모양을 만들게 합니다. 손가락의 소근육을 사용하며 창의력과 집중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 2. 곡물 분류: 콩, 쌀, 보리 등 다양한 곡물을 섞어놓고 종류별로 분류하게 합니다. 시각과 촉각을 이용해 집중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 3. 색칠 공부 및 그림 그리기: 색칠 공부는 주의 집중력을, 자유로운 그림 그리기는 표현력창의력을 높여줍니다.

3. 언어 능력을 유지하는 '끝말잇기'와 '속담 맞히기'

언어를 사용하고 단어를 떠올리는 활동은 뇌의 언어 영역을 활성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익숙한 단어를 사용하는 놀이는 어르신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활동 방법

  • 1. 끝말잇기: 쉬운 단어부터 시작하여 어르신이 아는 단어를 활용합니다. "기차-차도-도로"와 같이 짧은 단어로 시작하고, 어려운 단어는 자연스럽게 넘어가도록 유도합니다.
  • 2. 속담 맞히기: "호랑이도 제 말하면...", "낮말은 새가 듣고..."와 같이 익숙한 속담의 일부를 말해주고 나머지를 채우게 합니다. 이는 어르신의 기억력연상 능력을 자극합니다.
  • 3. 노래 가사 외우기: 어르신이 좋아했던 옛날 노래를 함께 부르며 가사를 떠올리게 합니다.

4. 논리적 사고를 돕는 '퍼즐 및 보드게임'

퍼즐이나 보드게임은 문제 해결 능력논리적 사고를 기르는 데 효과적입니다. 어르신의 인지 수준에 맞는 난이도의 게임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활동 방법

  • 1. 그림 맞추기 퍼즐: 조각이 크고 색깔이 명확한 그림 퍼즐을 활용합니다. 조각 수가 적은 것부터 시작해 점차 늘려갈 수 있습니다.
  • 2. 젠가: 젠가 게임은 손의 협응력과 집중력을 기르는 데 좋습니다. 무너지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블록을 빼는 과정에서 전략적 사고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 3. 색깔 짝 맞추기: 같은 색깔의 카드를 찾는 짝 맞추기 놀이는 기억력시각적 인지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5. 신체활동과 연계한 '가벼운 율동 및 체조'

적절한 신체활동은 혈액 순환을 돕고 뇌에 산소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인지 기능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노래와 함께하는 율동이나 간단한 체조는 어르신의 신체 협응력동작 기억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활동 방법

  • 1. 좋아하는 노래에 맞춰 박수를 치거나 어깨를 들썩이는 등 간단한 율동을 합니다.
  • 2. 앉은 상태에서 팔다리를 가볍게 움직이는 체조를 합니다. "만세", "잼잼" 등 간단한 구호를 외치며 동작을 따라 하도록 유도합니다.
  • 3. 공 던지기, 풍선 치기 등 가볍고 안전한 도구를 활용한 놀이는 재미와 함께 신체 조절 능력을 기르는 데 좋습니다.

6. 생활 속에서 찾는 '일상생활 훈련'

일상생활의 간단한 과제를 수행하는 것만으로도 뇌는 지속적으로 자극을 받습니다. 이는 어르신의 자립심문제 해결 능력을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활동 방법

  • 1. 요리 활동: 쉬운 요리(나물 다듬기, 빵 만들기 등)를 함께하며 순서를 기억하고 손을 사용하게 합니다.
  • 2. 옷 개기 및 정리: 옷을 개거나 서랍을 정리하는 활동은 계획 능력소근육 운동에 좋습니다.
  • 3. 달력 관리: 매일 날짜를 확인하고 중요한 일정을 표시하는 활동은 시간 개념기억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7. 자연과 교감하는 '원예 및 식물 가꾸기'

흙과 식물을 만지는 활동은 정서적 안정감을 주고, 생명을 돌보는 책임감은 어르신의 삶에 활력을 불어넣습니다. 식물을 가꾸는 과정은 관찰 능력기억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효과적입니다.

활동 방법

  • 1. 화분에 허브나 작은 채소(상추 등)를 심고 물을 주는 등 직접 관리하게 합니다.
  • 2. 식물의 성장을 매일 관찰하고 변화를 이야기하게 합니다.
  • 3. 꽃꽂이, 나뭇잎으로 작품 만들기 등 자연물을 활용한 미술 활동을 병행할 수 있습니다.